맨위로가기

해머스미스 & 시티 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머스미스 & 시티 선은 런던 지하철의 노선 중 하나로, 해머스미스에서 바킹까지 운행한다. 1863년 메트로폴리탄 철도가 패딩턴과 스미스필드 구간을 개통하면서 시작되었으며, 세계 최초의 지하철 노선으로 기록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연장 및 노선 변경을 거쳐 1990년에 메트로폴리탄 선에서 분리되어 독립적인 노선으로 운영되기 시작했다. 현재 29개의 역을 운영하며, 25.5km의 노선을 운행한다. 2014년에는 S7형 차량으로 모든 열차가 교체되었고, 2018년 말까지 선로, 전력 공급 및 신호 시스템을 개선하는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리스역
    리스역은 스위스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인터레기오, 레기오, 베른 S-반, 레기오익스프레스 등 다양한 열차 서비스가 제공된다.
  • 186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추크-루체른 철도
    추크-루체른 철도는 1864년 개통되어 단선으로 시작하여 전철화, S-반 도입, 추크 슈타트반 도입 등 여러 변화를 거쳐 복선 구간 확장 및 선로 직선화 등의 개량이 이루어졌다.
  • 런던 지하철 - 2005년 런던 폭탄 테러
    2005년 런던 폭탄 테러는 런던 지하철과 버스를 대상으로 발생한 동시다발적인 자살 폭탄 테러로, 56명이 사망하고 수백 명이 부상당했으며, 테러범들은 알카에다 지지와 이라크 전쟁에 대한 반감을 범행 동기로 주장하여 영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 런던 지하철 - 런던 지하철 노선도
    런던 지하철 노선도는 해리 벡의 디자인을 바탕으로 노선의 연결 관계를 간결하고 명확하게 표현하여 인기를 얻었으며, 여러 디자이너들의 개선과 새로운 교통수단의 등장에 따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며 문화적 아이콘이자 전 세계 지하철 노선도 디자인에 영향을 미쳤다.
해머스미스 & 시티 선
노선 정보
노선 이름해머스미스&시티 선
해머스미스&시티 선 로고
해머스미스&시티 선 로고
웨스트햄 역에 정차 중인 S7 차량
웨스트햄 역에 정차 중인 S7 차량, 해머스미스 방면
노선 종류급행 철도
운영 시스템런던 지하철
노선 색상분홍색
역 수29개
연간 승객 수1억 4162만 7천명 (2019년)
개통일1863년 1월 10일 (메트로폴리탄 철도로 개통)
1990년 7월 30일 (해머스미스&시티 선으로 명칭 변경)
마지막 연장1936년
노선 특징굴착식
차량 기지해머스미스 차량기지
사용 차량S7 차량
노선 길이25.5 km
공식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런던 철도 노선도
런던 교통공사 철도 노선도
운행 정보
주요 경유지Barking
Farringdon
Aldgate East
Paddington
Westbourne Park
Bromley-by-Bow

2. 역사

메트로폴리탄 철도(Met)가 건설한 첫 노선은 패딩턴에서 시티오브런던 인근 스미스필드까지였다. 1863년 1월 10일에 개통된 이 노선은 세계 최초의 지하철로, 증기기관차가 가스 조명 목조 객차를 운행했다. 이 노선은 뉴로드에서 개착식 공법으로 건설되었으며, 패딩턴과 킹스크로스 사이 터널과 패링던 로드 도로 인근에 건설되었다.[38]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GWR)와 Met가 지원한 해머스미스 & 시티 철도(H&CR)는 패딩턴 역 서쪽 GWR 본선에서 셰퍼드 부시와 해머스미스 교외 개발 구역까지 건설되었다. 1864년 6월 13일, GWR 서비스를 통해 패링던에서 해머스미스 간 노선이 개통되었으며, 넓은 평지를 가로질러 고가로 건설되었다. 몇 주 후, 웨스트 런던 철도의 애디슨 로드(현재 켄징턴 (올림피아) 역)에서 라티머 로드로 연결되었다. 1865년부터 해머스미스와 GWR 열차가 애디슨 로드로 운행했다. 1867년 이 노선은 두 회사가 공동 소유했다. 1871년 웨스트본 파크와 패딩턴 사이 GWR과 평행한 두 개 추가 노선이 H&CR에 사용되었고, 1878년 웨스트본 파크 평면 교차점이 dive-under로 대체되었다. 1년 전, 런던 & 사우스 웨스턴 철도 해머스미스(그로브로드)역과 리치먼드 행 노선을 통해 일부 서비스가 연장되었다.

철도는 패링던 동쪽으로 확장되었고, 1876년 11월 18일 알드게이트 종착역이 문을 열었다. Met는 이스트 런던 철도(ELR)를 통해 사우스 런던 철도(South Eastern Railway)에 접근하고, 맨션 하우스역에서 Met 알드게이트 역까지, 알드게이트에서 동쪽 화이트채플 ELR에 도달하기 위해 디스트릭트 철도와 공동 건설을 원했다. 1884년 10월, Met는 일부 해머스미스 서비스를 ELR을 통해 뉴크로스로 확장했다.

1902년 화이트채플 & 보우 철도(Whitechapel & Bow Railway)가 개통되어, 브롬리바이보우역 서쪽 화이트채플 디스트릭트 철도를 보우와 런던, 틸버리 & 서던 철도(LT&SR)에 연결하고 일부 디스트릭트 서비스를 화이트채플에서 이스트햄으로 연장했다.

1906년 노선이 리치먼드로 옮겨졌을 때 철수되었고, 서부 종착지는 해머스미스와 켄싱턴(애디슨 로드)가 되었으며, ELR이 1914년 전철화되고 서비스가 해머스미스에서 뉴크로스(SER) 및 뉴크로스(LB & SCR)에 이르기까지 ELR에서 화이트채플로 전환되었다. 6량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는 GWR이 Met에 판매한 1923년까지 Met 및 GWR이 공동 소유했다.

1933년 이후 역사는 '=== 런던 여객 운송위원회 ===', '=== 별도의 노선으로 분리 ==='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메트로폴리탄 철도

1863년 1월 10일, 세계 최초의 지하철인 메트로폴리탄 철도(Met)의 패딩턴-패링던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 열차는 증기기관차가 운행되었으며, 가스 조명이 설치된 목조 객차가 사용되었다.[38] 1864년 6월 13일, 해머스미스 & 시티 철도(H&CR)가 패딩턴 역 서쪽에서 셰퍼드 부시와 해머스미스까지 개통되었다. 초기에는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GWR)가 운행을 담당했다. 1865년부터는 해머스미스와 GWR 열차가 애디슨 로드(현재의 켄징턴 (올림피아) 역)로 열차를 운행했다. 1867년, H&CR 노선은 Met와 GWR이 공동 소유하게 되었다.

1876년, Met는 패링던에서 동쪽으로 확장하여 알드게이트 역까지 노선을 연장했다. 1884년, Met는 이스트 런던 철도(ELR)를 통해 뉴 크로스 역까지 일부 해머스미스 발 열차를 연장 운행했다. 1902년, 화이트채플 & 보우 철도가 개통되어 디스트릭트 선 열차가 화이트채플에서 이스트 햄 역까지 연장 운행되었다.

1906년, 노선 전철화로 인해 리치몬드 행 서비스가 중단되고, 서쪽 종착역은 해머스미스와 켄싱턴(애디슨 로드)으로 변경되었다. 동쪽으로는 ELR을 통해 화이트채플까지 운행되었다. 1914년, ELR 전철화와 함께 해머스미스에서 뉴 크로스(SER) 및 뉴 크로스(LB&SCR)까지 운행이 재개되었다.

2. 2. 런던 여객 운송위원회

1933년 7월 1일, 메트로폴리탄 철도는 다른 지하철, 노면전차 회사, 버스 운영사와 합병하여 런던 여객 운송위원회(London Passenger Transport Board)를 설립했다. 1936년, 화이트채플역 동쪽 디스트릭트선의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일부 해머스미스 & 시티 선 열차가 이스트 런던 선에서 바킹으로 연장 운행되었다.[39] 1939년 뉴 크로스 및 뉴 크로스 게이트 행 직통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고,[39] 1941년 바킹 발 열차가 다시 해머스미스까지 운행하게 되었다.[39]

1937년, 원격 조작 문을 갖춘 신형 강철 O형 차량이 도입되어 1906년부터 사용된 목조 차량을 대체했다. 초기에는 4량 또는 6량 편성이 계획되었으나, 견인 전류 문제로 6량 편성만 사용되었다.[39] 1940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폭격 피해로 라티머 로드를 경유하는 켄싱턴(올림피아) 행 서비스가 중단되었다.[39] 1959-1960년, 서클 선에서 운행되던 유사한 열차가 6량으로 연장되면서, 두 노선의 차량 유지보수가 해머스미스 차량기지에서 통합 관리되었다.[39] 1970년대, 알루미늄 C형 차량이 도입되어 기존 열차를 대체했다.[39] 1인 승무(운전자 단독 운행)는 1984년에 도입되었다.[5]

2. 3. 별도의 노선으로 분리

1990년, 해머스미스 & 시티 선은 노선도에서 메트로폴리탄 선에서 분리되어 별도의 노선으로 운영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메트로폴리탄 선은 알드게이트에서 베이커 스트리트를 거쳐 북쪽의 "Metro-Land"를 통해 옥스리지, 왓퍼드, 아머셤까지 운행하는 노선이 되었다.[40] 2003년에는 해머스미스 & 시티 선의 인프라가 공공-민간 파트너쉽 (민관 협력 사업)을 통해 부분적으로 민영화되어 메트로넷 컨소시엄이 관리를 맡았다. 그러나 메트로넷은 2007년에 법정 관리에 들어갔고, 지방 정부 기관인 런던 교통공사가 관리 책임을 인수했다.[41]

크로스레일 노선 건설을 위한 화이트채플 역 재건축으로 인해 회차 플랫폼을 사용할 수 없게 되면서, 2009년 12월부터 모든 열차가 플레이스토 또는 바킹까지 연장 운행되었다.[42]

2010년대에는 C형 차량이 S7형 차량으로 교체되기 시작했다. 2012년 7월 6일, S7형 차량이 해머스미스 & 시티 선에 처음 도입되어 해머스미스와 무어게이트 간 셔틀 서비스를 시작했고,[45] 2012년 12월 9일부터는 해머스미스와 바킹 간 운행을 시작했다.[43][44] 2014년 3월에는 모든 열차가 S7형 차량으로 운행하게 되었다.[46]

3. 노선도


해머스미스 & 시티 선의 실제 경로


이 노선은 25.5km의 길이에 29개의 역이 있다.[48] 선로의 거의 대부분이 다른 런던 지하철의 저심도 노선과 공유하는데, 서클선의 해머스미스~베이커 스트리트 구간, 서클 선 & 메트로폴리탄 선의 베이커 스트리트~알드게이트 구간, 디스트릭트 선의 알드게이트 이스트역~바킹 구간이 있다.[48]

4. 운행 정보

비첨두 시간대에는 모든 역에 정차하는 열차가 시간당 6대 운행되며,[49] 첨두 시간대에는 15대의 열차가 운행된다.[35] 서클선과 함께 매년 1억 1,400만 명 이상의 승객이 이용한다.[37] 해머스미스에서 바킹까지의 이동 시간은 비첨두 시간대에 약 61분이다. 패딩턴에서 알드게이트 이스트까지의 중앙 구간은 런던 요금 1구역에 속하며, 서쪽의 해머스미스, 동쪽의 브롬리바이보우까지는 2구역에 속한다. 이스트햄 구간은 3, 4구역에 속하며, 바킹은 4구역에 속한다.[50]

웨스트햄 역을 출발하는 S7 차량


서비스는 S7 차량으로 제공되며, 이 차량은 모비아 제품군의 일부로, 지하 터널(심층 튜브 노선과 달리)이 배출된 뜨거운 공기를 분산시킬 수 있어 에어컨이 장착되어 있다.[18] 이 열차는 회생 제동 장치를 갖추고 있어, 에너지의 약 20%를 전력망에 반환한다.[19] 최고 속도는 62mph이며,[18] 7량 S 차량은 865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는데, 이는 6량 C 차량의 739명보다 증가한 수치이다.[20][22] S 차량의 길이는 117m로, 93m 길이의 C 차량보다 24m 더 길어져 역 플랫폼이 연장되었다.[21]

5. 차량



현재 운용되는 차량은 봄바디어 모바이아(Movia) 제품군의 일부인 7량 S 차량(S Stock)이다. 냉방 장치가 되어 있는데, 이는 (고심도 튜브 터널과 달리) 저심도의 터널로 냉방 장치에서 배출되는 뜨거운 공기를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51] 이 열차는 회생 제동을 사용하여 에너지의 약 20%를 네트워크에 반환한다.[52] 최고 속도는 62mph이다.[51]

7량 S 열차는 865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으며, 이는 교체 전 사용된 6량 C 차량(C Stock)의 739명보다 많은 수치이다.[53][55] S 차량의 길이는 117m로, 기존 C 차량(93m)보다 24m 더 길어 역 승강장 길이도 연장되었다.[54]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하고 열차가 회생 제동을 통해 네트워크로 더 많은 에너지를 반환할 수 있도록 수송 전압을 현재 공칭 630V에서 750V로 증가시킬 계획이다.[55]

6. 차량 기지

이 노선의 차량 기지는 해머스미스 역 인근의 해머스미스에 있는데,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에 의해 건설되어 20세기 초에 철도가 통근했을 때 메트로폴리탄 철도로 운행되었던, 구 해머스미스 역 가까이에 있다.[35] 바킹 역과 하이 스트리트 켄싱턴 역 근처(트라이앵글 사이딩)의 측선에서 야간에 열차를 유치했다.[2] 패링던 역의 측선은 C형 차량 시대에 사용되었으나, 새로운 S형 차량 열차의 길이가 더 길어져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7. 개선 프로그램

S형 차량(S Stock) 도입과 함께, 선로, 전력 공급, 신호 시스템을 개선하는 '4개 노선 현대화'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2018년 말까지 서클 선 및 해머스미스 & 시티 선의 혼잡 시간 용량을 65% 증가시킬 계획이었다.[56][57][58] 1940년대에 설치된 기존 신호 장비를 자동 열차 제어(ATC) 시스템으로 교체하고, 해머스미스에 지하철 통합 제어실을 설치할 예정이었다.[57][59]

2016년 말부터 새로운 신호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었으나,[23] 계약 업체였던 봄바디어와의 계약이 2013년 12월 합의에 의해 해지되었다.[24] 이후 런던 지하철은 2015년 8월 탈레스와 새로운 계약을 체결했다.[25]

S7 재고 도입과 함께 선로, 전력 공급 및 신호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여, 2023년 말까지 피크 시간대 수송 능력을 27% 향상시킬 계획이다.[23][26][27] 2018년 5월 6일 해머스미스에 지하철 통합 제어실이 개소되었으며, 1940년대부터 사용된 기존 신호 장비를 통신 기반 제어(CBTC) 방식으로 점진적으로 대체할 예정이다.[23][28]

CBTC 도입은 신호 마이그레이션 구역(SMA)으로 나누어 진행되며, 각 구역별 현황은 다음과 같다.[29]

해머스미스 & 시티 선 신호 마이그레이션 구역
구역시작종료상태날짜
0.5해머스미스래티머 로드완료2019년 3월
1래티머 로드패딩턴완료2019년 9월
2패딩턴유스턴 스퀘어완료2019년 9월
3유스턴 스퀘어스텝니 그린완료2020년 7월
6스텝니 그린비컨트리완료2023년 1월


8. 역 목록

메트로폴리탄 철도(Met)가 건설한 첫 노선은 패딩턴에서 시티 근처의 스미스필드까지였으며, 증기 기관차로 가스등이 설치된 나무 객차를 운행했다. 1863년 1월 10일에 개통된 이 노선은 세계 최초의 지하 철도였다. 패딩턴과 킹스 크로스 사이는 뉴로드 아래 개착식 방식으로 건설되었으며, 이후 패링던 로드 옆의 터널과 절개지로 이어졌다.[38] 메트와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GWR)의 지원을 받아 해머스미스 & 시티 철도(H&CR)는 패딩턴 역 서쪽의 GWR 본선에서 셰퍼드 부시와 해머스미스의 개발 중인 교외 지역까지 건설되었다. 1864년 6월 13일, GWR은 패링던에서 해머스미스까지 운행을 시작했으며, 몇 주 후 웨스트 런던 철도의 애디슨 로드(현재 켄징턴 (올림피아) 역)에서 래티머 로드까지 연결되었다. 1865년부터 해머스미스와 GWR 열차가 애디슨 로드까지 운행했다. 1867년에 이 노선은 두 회사가 공동 소유했다. 1871년 웨스트본 파크와 패딩턴 사이에 GWR과 평행한 두 개의 추가 노선이 H&CR에 사용되었고, 1878년 웨스트본 파크의 평면 교차점이 dive-under로 대체되었다. 1년 앞서, 런던 & 사우스 웨스턴 철도의 해머스미스 (그로브 로드) 역과 리치먼드 행 노선을 통해 일부 서비스가 연장되었다.

철도는 패링던의 동쪽으로 확장되었고, 1876년 11월 18일에 올드게이트 종착역이 문을 열었다. 메트는 이스트 런던 철도(ELR)를 통해 사우스 런던 철도(South Eastern Railway)에 접근하고 맨션 하우스 역에서 메트의 올드게이트 역까지, 올드게이트에서 동쪽으로 화이트채플의 ELR에 도달하기 위해 디스트릭트 철도와 공동으로 건설하기를 원했다. 1884년 10월에 메트는 일부 해머스미스 서비스를 ELR을 통해 뉴크로스(New Cross)로 확장했다.

1902년 화이트채플 & 보 철도(Whitechapel & Bow Railway)가 개통하여 브롬리-바이-보 역 서쪽의 화이트채플에 있는 디스트릭트 철도를 보와 런던, 틸버리 & 서던 철도(LT&SR)에 연결하고 일부 디스트릭트 서비스를 화이트채플에서 이스트햄으로 연장했다.

1906년에 노선이 리치먼드로 옮겨졌을때 철수되었고, 서부 종착지는 해머스미스와 켄싱턴(애디슨 로드)가 되었고, 이스트 서비스는 ELR이 1914년에 전철화되고 서비스가 해머스미스에서 뉴크로스(SER) 및 뉴크로스(LB & SCR)에 이르기까지 ELR에서 화이트채플로 전환되었다. 6량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는 GWR이 Met에 판매한 1923년까지 Met 및 GWR이 공동 소유했다.

역명사진개업일자특이 사항위치
해머스미스
갈색 벽돌 건물로, 흰색 글씨로
1864년 6월 13일현재의 역사는 1868년 12월 1일에 이전하였다.
골드호크 로드
철도 벽돌 고가도로 아래 입구로, 흰색 글씨로
1914년 4월 1일
셰퍼드 부시 마켓
강철 다리 위에 도로를 건너는 벽돌 고가도로 위의 철도로, 흰색 글씨로
1864년 6월 13일현재의 역사는 1914년 4월 1일에 이전하였다. 기존의 ”셰퍼즈 부시(Shepherd's Bush)”에서 2008년에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62]
우드 레인
흰색 글씨로
2008년 10월 12일[63]
래티머 로드
벽돌 고가도로 위의 철도가 도로를 건너고,
1868년 12월 16일2011년 1월 17일부터 8월 1일까지 개보수 및 연장 공사를 위해 영업을 일시 중단했다.[64]
래드브로크 그로브
흰색 글씨로
1864년 6월 13일개업 당시 노팅힐(Notting Hill) 이었고, 1880년에 노팅힐 & 래드브로크 그로브(Ladbroke Grove), 1919년에 래드브로크 그로브(노스켄싱턴)/Ladbroke Grove (North Kensington), 1938년에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
웨스트본 파크
흰색 글씨로
1866년 2월 1일1871년 11월 1일에 현재의 역사로 이동, 1992년까지 그레이트웨스턴 본선 역으로 이용되었다.
로열 오크
흰색 글씨로
1871년 10월 30일1934년까지 그레이트웨스턴 본선 역으로 이용되었다.
패딩턴
여러 사람이 기차를 기다리고 있는 플랫폼. 흰색 사각형 표지판에는 중앙에
1863년 1월 10일개업 당시 패딩턴(비숍 로드)/Paddington (Bishop's Road), 1948년에 개명.
베이컬루,디스트릭트,패딩턴 본선역으로 환승가능.
에지웨어 로드
베이지색 건물로, 갈색 프레임 창문과 갈색 글씨로
1863년 1월 10일디스트릭트 및 서클 선으로 환승가능.
베이커 스트리트
다양한 색상의 표지판이 있는 밝은 회색 건물 앞에서 사람들이 가득한 거리
1863년 1월 10일베이컬루, 주빌리, 메트로폴리탄 선으로 환승가능.
그레이트 포틀랜드 스트리트
흰색 글씨로
1863년 1월 10일개업 당시 포틀랜드 로드(Portland Road), 1917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개명. 1923~33년에 잠시 그레이트 포틀랜드 스트리트 & 리젠츠 파크(Great Portland Street & Regent's Park)란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유스턴 스퀘어
흰색 글씨로
1863년 1월 10일개통 당시 고어 스트리트(Gower Street) 였으며, 1909년에 개명. 유스턴 본선역으로 환승가능.
킹스 크로스 세인트 판크라스
파란색 표지판 아래
1863년 1월 10일개통 당시 킹스크로스(Kings Cross), 1925년에 킹스크로스&세인트판크라스(Kings Cross & St. Pancras)로, 1933년에 현재의 킹스크로스 세인트판크라스(King's Cross St. Pancras)로 개명. 1941년에 현재의 역사로 이전.
노던, 피카딜리, 빅토리아 선과 세인트 판크라스 역 및 런던 킹스 크로스 역과 환승가능.
패링던
두 층으로 된 창백한 돌 건물에 대한 거리 모습. 건물 꼭대기에는 금색 글씨로
1863년 1월 10일개통 당시 패링던 스트리트(Farringdon Street), 1865년에 현재의 역사로 이전, 1922년에 패링던 & 하이홀본(Farringdon & High Holborn), 1936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개명.
템즈링크 서비스와 환승가능.
바비칸
런던 택시와 차가 있는 도로 건너편에는 입구가 있다. 사람들 서 있고, 위에는 흰색 글씨로
1865년 12월 23일개통 당시 앨더스게이트 스트리트(Aldersgate Street), 1910년에 앨더스게이트(Aldersgate), 1923년에 앨더스게이트&바비칸(Aldersgate & Barbican), 1968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개명.
무어게이트
도로 건너편과 검은색 볼라드 뒤에는 적어도 2층 건물로 된 벽돌 건물이 있다. 1층은 돌색이고, 두 사람이 흰색 글씨로
1865년 12월 23일개통 당시 무어게이트 스트리트(Moorgate Street), 1924년에 개명.
노던 선과 본선으로 환승 가능.
리버풀 스트리트
아치형 창문과 경사진 지붕이 있는 벽돌 건물의 끝이 두 개의 탑 사이에 있고, 첨탑이 있습니다. 그 앞에 흰색 금속과 유리 구조가 있다. 사람들이 거리에서 서 있고 걷고 있다.
1875년 7월 11일1875년 2월부터 7월까지 기차는 본선 기차역에서 승강장을 사용했다.
센트럴, 서클 선, 리버풀 스트리트 본선 역으로 환승 가능.
올드게이트 이스트
건물 공사 중간에 유리 문이
1884년 10월 6일디스트릭트 선으로 환승 가능. 1938년에 현재의 역사로 이전.
화이트채플
녹색 간판에
1884년 10월 6일런던 오버그라운드 서비스로 환승 가능. 개통 당시 화이트채플(마일 엔드)/Whitechapel (Mile End), 1901년에 개명. 메트로폴리탄 서비스는 1906년에 시작되어, 1913~36년에 중단되었다.
스테프니 그린
창백한 앞면이 있는 슬레이트 지붕 아래의 벽돌 건물; 왼쪽에 두 개의 아치형 출입구와 오른쪽에 네 개의 아치형 창문이 있고, 그 위에는 흰색 글씨로
1902년 6월 23일메트로폴리탄 서비스는 1941년에 시작되었다.
마일 엔드
흰색 글씨로
1902년 6월 2일센트럴 선과 교차 승강장으로 환승. 메트로폴리탄 서비스는 1936년에 시작되었다.
보 로드
흰색 글씨로
1902년 6월 11일1876년에 본선 역으로 개업, 1892년에 이전. 메트로폴리탄 서비스는 1936년에 시작, 본선 역은 1947년에 폐역.
브롬리-바이-보
흰색 글씨로
1902년 6월 2일1894년 본선 역으로 개업, 개업 당시 브롬리(Bromley), 메트로폴리탄 서비스는 1936년에 시작하여 1940년에 폐쇄, 1967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개명.
웨스트 햄
흰색 글씨로
1902년 6월 2일주빌리 선, 도클랜즈 경전철, c2c 서비스로 환승 가능. 1901년에 본선 역으로 개업, 1924~69년에 웨스트햄(마너 로드)/West Ham (Manor Road) 란 이름을 사용. 메트로폴리탄 서비스는 1941년에 시작, 1994년 본선 역을 폐쇄.
플레이스토
흰색 글씨로
1902년 6월 2일1858년 본선 역으로 개업. 메트로폴리탄 서비스는 1936년에 시작되었다.
업턴 파크
흰색 글씨로
1902년 6월 2일1877년 본선 역으로 개업. 메트로폴리탄 서비스는 1936년에 시작되었다.
이스트 햄
파란색 표지판에 흰색 글씨로
1902년 7월 2일1858년 본선 역으로 개업. 메트로폴리탄 서비스는 1936년에 시작되었다.
바킹
캐노피가 있는 유리 및 강철 건물, 1층에 상점 열이 있다. 건물 앞에 버스 정류장에 버스가 대기하고, 사람들이 있는 차들이 대기하고 있다. 입구 위에는
1902년 6월 2일업민스터에서 c2c, 런던 오버그라운드, 디스트릭트 선으로 환승 가능. 1854년에 본선으로서 개업. 1905~8년에 디스트릭트 철도 서비스 철회. 메트로폴리탄 서비스는 1936년에 시작.


참조

[1] 웹사이트 London Assembly Questions to the Mayor https://www.london.g[...] London Assembly 2024-02-29
[2] 웹사이트 Hammersmith & City line: Key Facts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11-28
[3] 웹사이트 CULG - Hammersmith & City Line http://www.davros.or[...] 2020-08-06
[4] 서적 The Golden Years of the Metropolitan Railway and the Metro-land Dream Bloomsbury Publishing
[5] 서적 Rails Through the Clay: A History of London's Tube Railways Capital Transport
[6] 웹사이트 London Underground map 1990 http://www.clarksbur[...] 2012-11-21
[7] 웹사이트 PPP Performance Report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09–2010
[8] 웹사이트 Review of the new SSR service pattern introduced in December 2009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1-02-08
[9] 웹사이트 In Pictures: The S7 Stock In Passenger Service http://www.londonrec[...] 2012-07-09
[10] 뉴스 First S Stock train runs on Hammersmith & City line http://www.rail.co/2[...] 2012-12-13
[11] 웹사이트 Commissioner's Report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3-12
[12] 웹사이트 Commissioner's Report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4-03-26
[13] 서적 Underground, Overground: A Passenger's History of the Tube https://books.google[...] Profile Books 2012-12-07
[14] 웹사이트 Detailed London Transport Map http://cartometro.co[...] 2012-11-23
[15] 웹사이트 Hammersmith to Barking Hammersmith & City line timetable http://journeyplanne[...] Transport for London 2012-12-09
[16] 웹사이트 Performance: LU Performance Data Almanac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3-01-17
[17] 웹사이트 Standard Tube Map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12-08
[18] 웹사이트 Metro — London, United Kingdom http://www.bombardie[...] Bombardier 2011-01-27
[19] 웹사이트 Transforming the Tube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09-05-28
[20] 웹사이트 Rolling Stock: C Stock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11-25
[21] 뉴스 'S' stock making its mark 2010-12
[22] 웹사이트 Rolling Stock: S stock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01-10
[23] 간행물 Sub-surface renewal 2013-01
[24] 간행물 London Underground and Bombardier abandon Tube signalling contract https://www.railjour[...] 2020-06-02
[25] 간행물 London Underground resignalling reaches milestone https://www.railjour[...] 2020-06-02
[26] 웹사이트 Our Upgrade Plan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12-07
[27] 웹사이트 Four Lines Modernisation https://www.tfl.gov.[...] 2020-06-02
[28] 간행물 Cityflo 650 to control the SSR 2013-01
[29] 간행물 4LM SIGNALLING UPDATE https://www.lurs.org[...] London Underground Railway Society 2020-10
[30] 간행물 Modernisation complete as Shepherd's Bush Tube station re-opens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3-02-06
[31] 간행물 New Wood Lane Underground station opens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12-08
[32] 간행물 Latimer Road station to close for three months for engineering works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3-02-07
[33] 웹사이트 Performance: LU Performance Data Almanac http://www.tfl.gov.u[...] "[[ロンドン交通局]]" 2013-01-17
[34] 웹사이트 London Underground Key Facts http://www.tfl.gov.u[...] "[[ロンドン交通局]]" 2008-05-21
[35] 웹인용 Hammersmith & City line: Key Facts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11-28
[36] 웹인용 London Underground Key Facts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08-05-21
[37] 웹인용 Performance: LU Performance Data Almanac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3-01-17
[38] 서적 The Golden Years of the Metropolitan Railway and the Metro-land Dream Bloomsbury
[39] 서적 Rails Through the Clay: A History of London's Tube Railways Capital Transport
[40] 웹인용 London Underground map 1990 http://www.clarksbur[...] 2012-11-21
[41] 웹인용 PPP Performance Report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03-07
[42] 웹인용 Review of the new SSR service pattern introduced in December 2009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12-31
[43] 뉴스 First S Stock train runs on Hammersmith & City line http://www.rail.co/2[...] 2012-12-30
[44] 웹인용 Commissioner's Report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3-12-21
[45] 웹인용 In Pictures: The S7 Stock In Passenger Service http://www.londonrec[...] 2012-07-16
[46] 웹인용 Commissioner's Report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4-04-02
[47] 서적 Underground, Overground: A Passenger's History of the Tube https://books.google[...] Profile Books 2012-04-26
[48] 웹인용 Detailed London Transport Map http://carto.metro.f[...] 2012-11-23
[49] 웹인용 Hammersmith to Barking Hammersmith & City line timetable http://journeyplanne[...] Transport for London 2012-12-09
[50] 웹인용 Standard Tube Map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12-08
[51] 웹인용 Metro — London, United Kingdom http://www.bombardie[...] Bombardier 2011-01-27
[52] 웹인용 Transforming the Tube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09-05-28
[53] 웹인용 Rolling Stock: C Stock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11-25
[54] 뉴스 'S' stock making its mark 2010-12
[55] 웹인용 Rolling Stock: S stock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01-10
[56] 웹인용 Upgrade plan (leaflet)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3-03-02
[57] 저널 Sub-surface renewal
[58] 웹인용 Hammersmith & City line Upgrade Plan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12-08
[59] 저널 Cityflo 650 to control the SSR
[60] 웹인용 A World-Class new railway for London and the South-East http://www.crossrail[...] Crossrail 2013-02-06
[61] 웹인용 Crossrail business case - Summary Report http://www.crossrail[...] Crossrail 2013-02-06
[62] 보도자료 Modernisation complete as Shepherd's Bush Tube station re-opens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3-02-06
[63] 보도자료 New Wood Lane Underground station opens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12-08
[64] 보도자료 Latimer Road station to close for three months for engineering works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3-0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